충청권 메가시티 청사진 확정 ‘특별지자체’ 간다
- 작성일
- 2022-01-04KST11:32:15
- 조회수
- 1841
새해 ‘충청권광역청 신설’ 공동 연구용역 추진
2025년 이후 행정통합, 산업 협력 역할분담
[자료출처 : 디트NEWS24 한지혜 기자]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세부 청사진이 베일을 벗었다. 새해 4개 시·도는 '광역연합형 특별지자체' 설립을 위해 힘을 모은다.
이번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수립 연구용역'은 충청권 4개 시도가 대전·세종·충남·충북연구원을 통해 공동 시행해 이뤄졌다. 광역권 발전모델을 정립하기 위해 각 지자체 간 기능을 분담하고, 산업, 교통, 사회·문화 등 분야별 과제를 구체화 했다는 점이 성과로 꼽힌다.
연구진들은 현재 충청상생협력단의 기능을 확대해 오는 2023~2024년 ‘(가칭)충청권광역청’을 설립·운영하고, 광역연합형 특별자치단체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별법 제정을 통한 최종 행정구역 통합 시점은 2025년 이후로 내다봤다.
충청권 ‘미래 산업’ 잠재력 확대하려면
연구진들은 ‘초광역 경제권 중심성 강화’를 메가시티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미래 혁신성장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충청권의 성장과 균형발전, 정체성 정립이 모두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주요 협력 산업 분야는 바이오메디컬, 미래모빌리티, 미래소재부품개발로 요약된다. 충청권 바이오랩센트럴 구축 과제는 대전을 중심으로 K-바이오랩허브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세종과 충남, 충북에는 위성 기능을 부여해 충청권이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5위권 내에 안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주요 과제는 ▲바이오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바이오헬스 기업 지원 ▲글로벌 바이오헬스 연계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특히 충남은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연구단지, 스마트 국가해양바이오밸리 조성 등에 중점 역할을 부여받았다.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 과제는 세종시의 규제특구, 충북의 시범지구 운행, 충남의 자동차 산업 인프라 기반을 활용해 이뤄진다.
인공지능·메타버스 융합클러스터 구축은 이미 충청권이 합의를 이뤘다. 대전 대덕특구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각 요소기술 분야별 전문가를 영입, 협의체를 출범해 초연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충남과 충북이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이미 산업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소재부품 산업 육성 사업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본·인력 해결 과제, 정체성 구축 필요성
산업 육성을 위한 자본, 인력 문제 해소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통한 투자 금융 체계 강화,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가칭)충청권 공동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의 과제로 요약된다.
또 세종시는 충청권 국공립대 통합 공동운영, sw 인재교육기관 공동 설립, 충북은 사이언스 아카데미 빌리지 조성 등 인적 자원 마련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청년인구 유입 문제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역세권 개발’을 통해 해결한다. 충청권 주요 철도 역사를 활용해 스마트 창업생태계, 고밀도 도시기반시설(정주 중심)을 함께 구축하는 게 골자다. 거점도시(광역중심생활권) 주변 철도역사인 ‘대전·서대전KTX역↔오송KTX역↔천안‧아산KTX역↔공주KTX역’이 대상지다.
충청권 광역 문화관광 브랜드(로고, 브랜드 슬로건, 캐릭터)를 개발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충청권을 한 데 묶는 하나의 정체성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2010 대전충청방문의해’ 사례를 예로 들었다.
연구진들은 “충청권은 지리적으로 수도권 경제권과 연담화되거나 수도권을 지원하는 형태의 제조업 기지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며 “다만, 기존 남북방향의 경부축(수도권~동남권)과 새로운 동서방향 발전축(서해안, 호남~충청~강원축)이 교차하는 입지 여건을 잘 활용할 경우, 광역단위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평섭 대전시 균형발전담당관은 “올해는 이번 연구용역에서 나온 충청권 특별지자체 설립과 관련된 공동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라며 “연구에서 제안된 과제는 충청권상생협력단에서 차원에서 실무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